본문 바로가기
생활밀착형 경제정보

재활용품 분리배출 보상제도 총정리

by 콩도리맘 2025. 4. 9.
반응형

 

 

 

 

매일같이 나오는 페트병, 캔, 유리병. 그냥 분리수거만 하고 버리기 아까운 마음, 들어본 적 있으시죠?

사실 이 중에는 잘만 모으면 돈이 되는 재활용품들이 숨어있는데요.
특히 요즘은 정부와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분리배출 보상제도 덕분에 쓰레기를 모아두기만 해도 포인트나 현금처럼 쓸 수 있는 혜택이 생기고 있어요.

 

 

오늘은 알아두면 돈 되는 재활용품 보상제도와 참여 방법을 한눈에 정리해 드릴게요 :)

 


 

✅ 보증금 반환 대상 재활용품은?

 

  1. 1회용 투명 페트병 (음료, 생수 등)
  2. 알루미늄 캔 (탄산음료, 맥주 등)
  3. 소주병, 맥주병 등 빈 유리병
  4. 기타 지자체 지정 보상 품목 (우유팩, 폐건전지 등)

 

이런 품목을 지정된 수거함에 넣거나, 지정 장소에 반납하면 포인트 적립 또는 현금 보상이 가능합니다.

 


 

✅ 대표 분리배출 보상제도 3가지

 

1) 투명 페트병 & 캔 자동 수거기 ‘네프론’

  • 설치 장소: 지하철역, 대형마트, 주민센터, 아파트 단지 등
  • 보상 : 페트병 1개당 5~10포인트, 캔 1개당 10포인트 적립
  • 포인트는 네이버페이 또는 현금 교환 가능

 

📌 이용 방법:

  1. 휴대폰 번호 입력 또는 앱 로그인
  2. 투입구에 깨끗이 씻은 페트병/캔 삽입
  3. 자동 인식 후 포인트 적립

👉 네프론 공식 홈페이지에서 설치 장소 검색 가능

 


 

2) 빈 병 보증금 반환 제도

  • 대상: 소주병, 맥주병 등 유리병
  • 반환 금액: 소주병 100원, 맥주병 130원
  • 반환 장소: 마트, 편의점, 소매점, 주류 판매처 등

 

📌 1병 단위로도 반환 가능
→ 일부 마트는 병 반납 시 현금 지급 또는 포인트 제공

 


 

3) 지자체 운영 보상제 (서울·경기 등)

 

예시: 서울시 새활용 시민보상제

  • 대상: 우유팩, 투명페트병, 폐건전지, 폐형광등 등
  • 참여 장소: 주민센터, 자원회수센터
  • 보상:
    • 종량제 봉투, 커피쿠폰, 마일리지 등으로 교환
    • 폐건전지 10개 = 종량제 봉투 1매

 

📌 지자체별 내용은 구청 홈페이지 또는 ‘내 손 안의 서울’ 등 안내 포털에서 확인 가능

 


 

💡 잘 모르면 놓치기 쉬운 포인트

 

✔️ 라벨 제거·세척 필수
→ 페트병에 라벨이 붙어있거나 이물질이 있으면 인식 불가

 

✔️ 지자체 별로 보상 품목이 다름
→ 서울은 우유팩도 보상이 되지만, 다른 지역은 아닐 수 있어요

 

✔️ 현금화 가능한 곳과 아닌 곳 구분 필요
→ 어떤 곳은 네이버페이 포인트 전환 가능, 어떤 곳은 지역화폐 또는 물품으로 지급

 


 

❓ 자주 묻는 질문

 

Q1. 투명 페트병만 가능한가요?

→ 네. 색이 있는 페트병, 식용유 병 등은 대상이 아닙니다.

Q2. 병을 많이 모아서 한 번에 가져가도 되나요?

→ 가능합니다. 다만, 자동 수거기는 1회 수거량 제한이 있으니 나눠서 투입해야 해요.

Q3. 네프론 앱 없이도 사용 가능한가요?

→ 네. 현장에 비치된 기기에서 휴대폰 번호만 입력하면 사용 가능합니다.

 


 

🎯 마무리

 

우리가 무심코 버리는 재활용품에도 현금처럼 쓸 수 있는 가치가 숨겨져 있어요. 게다가 환경 보호도 함께 실천할 수 있으니 1석 2조의 생활경제 습관이라고 할 수 있죠.

 

 

이제는 분리배출도 똑똑하게! 내가 사는 지역에 어떤 보상제도가 있는지 확인하고, 하루 1분, 환경과 내 지갑을 함께 챙겨보는 습관, 오늘부터 시작해보길 추천해요.

반응형